올해 전기이륜차 2만대 보급…구매보조금 총 160억 원 지급

 

충전속도 개선·배터리 정보 쉽게 파악 시 보조금 최대 10만 원 추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배터리 산업 전시회에서 관계자가 전기이륜차용 배터리팩과 배터리 교환형 충전장치를 시연하고 있다.

 

환경부는 올해 전기이륜차 2만 대 보급을 목표로 총 160억 원의 구매보조금을 지급하고,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500기

설치를 위해 5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는 전기이륜차 보급 확대와 충전 인프라 개선을 통해 친환경 교통수단을

활성화하기 위한 조치다.

특히 전기이륜차의 주요 불편사항으로 지적되었던 충전속도를 개선한 차량에는 차량 규모별 보조금 한도 내에서

최대 10만 원의 추가 보조금을 지원한다. 또한, 소유주가 배터리 상태 정보를 차량 디스플레이나 모바일 앱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차량에도 동일한 금액의 추가 보조금이 지급된다.

 

환경부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한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보조금 업무처리지침'과 '2025년 전기이륜차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설치 보조사업 운영지침'을 확정하고 3월 17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국내 전기이륜차 시장은 최근 배달업 성장과 함께 확대되고 있으며, 대기오염 저감과 도심지 생활소음 감소 측면에서 내연기관 이륜차보다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연비, 배터리 용량, 등판능력 등 성능이 우수한 차량에 보다 많은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전기이륜차 성능 향상을 유도하고 있다.

 

이번 보조금 지침 및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지원 지침은 정책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시장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개선책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배터리 구독형 서비스 확대를 위해 교환형 배터리와 충전시설의 표준화를 유도하고, 충전속도가

빠른 차량 및 배터리 상태정보 제공 차량에 대한 우대 정책을 적용한다.

 

 

주요 개정사항 중 하나는 교환형 배터리 및 충전시설의 표준화를 강화하는 것이다. 2023년 국가표준(KS표준)이

제정되었음에도 제조사별로 배터리팩 규격이 달라 충전시설의 상호 이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는 국가표준을 충족하지 않는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에는 설치비용을 지원하지 않아

불필요한 자원 낭비와 이용 비효율을 줄일 예정이다.

 

배터리교환형 전기이륜차에 대한 지원도 확대된다.

 

기존에는 차량 가격에서 배터리 가격이 제외된 특성상 성능에 따라 산정된 보조금의 60%만 지급했으나

올해부터는 70%까지 지원을 늘려 사용자의 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이는 교환형 배터리의 경우 용량을 늘리기 어려운 점을 고려해 형평성을 반영한 조치다.

또한, 충전속도가 빠른 차량과 배터리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차량을 우대해 소비자의 편의를 증대한다.

이를 통해 전기이륜차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시장 활성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보조금 산정 방식도 개선된다. 기존에는 연비 및 등판 계수 등이 변동값으로 적용되었으나, 올해부터는 이를 고정값으로

변경하여 업계의 예측 가능성을 높였다. 이를 통해 중·장기적인 기술 투자와 안정적인 연구개발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개정 지침은 3월 17일부터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에 게재되며, 전기이륜차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보급사업은 지역별 무공해차 전환 브랜드 사업 공모 지침에 따라 추진된다. 사업 공모는 오는 4월 중 진행될 예정이다.

 

오일영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전기이륜차는 도심 내 대기질 개선과 생활소음 저감에 효과적인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시장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배터리교환형 등 다양한 방식의 전기이륜차 보급을 확대하고, 업계의 기술 혁신을 지원해 소비자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및 충전시설 지원사업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환경부 대기미래전략과(044-201-6882)로 하면

된다.

🐝필독  전기이륜차 지원 가능 차량 및 보조금 확인 방법은?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www/ev.or.kr)